_Hash.cs 8.1 KB
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115116117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172173174175176177
  1. using System;
  2. using System.Collections;
  3. using System.Linq;
  4. using System.Text;
  5. using System.Reflection;
  6. namespace IControls_ExcelVerify
  7. {
  8. /// 2012. 5.25 최종 판단
  9. /// 해쉬테이블과 리스트를 혼용하기로 함
  10. ///
  11. /// HashTable 의 경우
  12. /// 1. 키가 존재하므로 자료 중복 체크 가능하다.
  13. /// 2. 삭제가 쉽다. (데이타 타입에 상관없이 삭제가능하다)
  14. /// 3. 해쉬테이블안에 해쉬테이블이 있을 경우 접근이 힘들다 (데이타베이스의 쿼리만큼의 작업이 소요된다)
  15. /// 4. 기존프로젝트와의 함수 및 변수 재사용성이 떨어진다
  16. /// 5. 키값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타베이스와 호환성은 우수하다.
  17. ///
  18. /// 리스트 의경우
  19. /// 1. 중복 체크는 불가능하다 (리스트에 클래스 단위로 저장하는 경우)
  20. /// 2. 삭제가 쉽지않다 (단일 자료형태가 들어가는 경우는 쉽지만 클래스 형태로 들어가는 리스트의 아이템을 추출하는것도 어렵고 리스트 검색도중 리스트가 삭제될수는 없다)
  21. /// 3. 리스트안에 리스트가 있을 경우 접근이 쉽다 (단 키값으로 접근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하가 걸릴 수가 있다)
  22. /// (키를 이용해서 찾지 않아도 되므로 접근성은 유연하다 (ACU 클래스안의 DOOR 클래스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여부를 판단하기가 쉽다)
  23. /// 4. 재사용 가능하다.
  24. ///
  25. ///
  26. /// 제일 좋은 방법은 공용 함수 파라미터에 클래스 타입 자체를 전달해서 받은 함수쪽에서 리플렉션과 어트리뷰트를 사용하는것인데
  27. /// MSDN 예제에서도 결국은 클래스 타입 이름은 알수 있어도 그 자체를 Runtime 상에서 메모리에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.
  28. /// (제일 큰 문제가 바로 HashTable 의 경우 의 3번 문제이다. 접근성이 해결되지 않는 것이 너무나 큰 문제이므로 해쉬테이블을 사용이 힘듬
  29. ///
  30. ///
  31. /// 결국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
  32. /// 1. 기본적인 자료는 해쉬테이블에 저장한다
  33. /// 2. 해쉬테이블의 키값은 따로 리스트로 관리한다
  34. /// 3. 키값으로 다이렉트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예제는 아래와 같다
  35. /// 4. 해쉬테이블을 관리하는 키리스트는 항상 싱크가 맞도록 한다. (추가 : 해쉬테이블 추가 -> 키리스트에 추가, 삭제 : 해쉬테이블 제거 -> 키리스트 삭제
  36. ///
  37. /// 결론, 기존의 함수 사용법에 크게 벗어나지도 않으며 해쉬 테이블의 장점도 살릴수 있으며 속도도 빠르다. 특히 데이타베이스와 호환성은 충분히 살릴수 있다.
  38. // 예시. ACU 해쉬테이블에서 DOOR 포트 사용여부를 조회하는 기능
  39. //
  40. // int a=0;// 원하는 값을 찾으면 카운트 증가
  41. // ACU 키리스트만큼 돌린다
  42. //foreach (string ACU_KEY in _Data.List_ACU_KEY)
  43. //{
  44. // // 키에 있는 값을 토대로 접근한다
  45. // if(((_DEVICE_ACU)_Data.Hash_ACU[ACU_KEY]).ACU_LAN_IP =="61.33.215.151")
  46. // {
  47. // // 찾았던 ACU 해쉬테이블의 Door 키리스트만큼 돌린다
  48. // foreach (string DR_KEY in ((_DEVICE_ACU)_Data.Hash_ACU[ACU_KEY]).List_DR_KEY)
  49. // {
  50. // if (((_DEVICE_DOOR)((_DEVICE_ACU)_Data.Hash_ACU[ACU_KEY]).Hash_DR[DR_KEY]).PORT_ENABLE == true)
  51. // // 원하는 값을 찾았다
  52. // a++;
  53. // }
  54. // }
  55. //}
  56. //int b = a;
  57. //b++;
  58. // 해쉬테이블 생성,접근,삭제 는 여기에서 공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
  59. public static class _Hash
  60. {
  61. // 해쉬테이블에 추가
  62. // 경고! 키값이 항상 ToString() 형태로 들어가므로 주의 요망
  63. public static bool Add(Hashtable hashtable, object key, object value)
  64. {
  65. try
  66. {
  67. // 키 중복인지 확인한다
  68. if (hashtable.ContainsKey(key) == false)
  69. {
  70. hashtable.Add(key.ToString(), value);
  71. return true;
  72. }
  73. else
  74. {
  75. //_Popup.Create(Popup_Type.Confirm, Popup_Style.Normal,_Text.Warnning, 250,150,_Text.OverLapKey,0);
  76. return false;
  77. }
  78. }
  79. catch // (Exception e)
  80. {
  81. // LOG
  82. //_Event.DebugView_SendMessage_Write(e.ToString());
  83. return false;
  84. }
  85. }
  86. // 해쉬테이블 가져오기
  87. ///
  88. /// 직접 엑세스하여 구하는 방법도 있다
  89. ///
  90. // 예시
  91. // hash 라는 해쉬테이블이 존재하고 그 해쉬테이블은 _MAIN 클래스 형태의 값들이 들어가있다
  92. // 키값이 10인 경우 데이터를 가져오는 경우
  93. // 즉, _MAIN 이라는 클래스의 a라는 변수의 값을 구하려면 아래와 같다
  94. // ((_MAIN)hash["10"]).a;
  95. // 키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통째로 가져오기
  96. public static object GetData_ByKey(Hashtable hashtable, object key)
  97. {
  98. foreach (DictionaryEntry d in hashtable)
  99. {
  100. if (d.Key.ToString() == key.ToString())
  101. return d.Value;
  102. }
  103. return null;
  104. }
  105. // 키값을 리스트 형태로 가져오는 방법
  106. public static ArrayList GetKeyList_ByKey(Hashtable hashtable)
  107. {
  108. ArrayList result = new ArrayList();
  109. foreach (DictionaryEntry d in hashtable)
  110. {
  111. // 키값은 string 형태로 가져온다
  112. result.Add(d.Key.ToString());
  113. }
  114. return result;
  115. }
  116. ///
  117. /// 해쉬테이블 삭제하기
  118. ///
  119. // 해쉬테이블에서 키로 데이타 삭제 (키는 ArrayList 로 받음)
  120. public static void DelData_ByKey(Hashtable hashtable, ArrayList keyList)
  121. {
  122. foreach (object key in keyList)
  123. {
  124. hashtable.Remove(key.ToString());
  125. }
  126. }
  127. // 해쉬테이블에서 키로 데이타 삭제 (키는 StringList 로 받음) -> "test1" or "test1;test2"
  128. public static void DelData_ByKey(Hashtable hashtable, string keyList)
  129. {
  130. string[] StringList = _Convert.String_to_ArrayString(keyList);
  131. foreach (string key in StringList)
  132. {
  133. hashtable.Remove(key);
  134. }
  135. }
  136. //// 해쉬테이블에서 키로 데이타 추출 (클래스를 아는 경우를 대비함 일단 미사용)
  137. //public static object GetData_ByKey(Hashtable hashtable, System.Type t, object key)
  138. //{
  139. // // reflection
  140. // // C#에는 사용자 지정 특성을 사용하여 정의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리플렉션 시스템이 있습니다.
  141. // // 중요한 메서드는 GetCustomAttributes로, 이 메서드는 런타임에 소스 코드 특성에 해당하는 개체 배열을 반환합니다.
  142. // System.Attribute[] attrs = System.Attribute.GetCustomAttributes(t);
  143. // foreach (System.Attribute attr in attrs)
  144. // {
  145. // // is : 지정된 형식과 개체가 호환되는지 검사합니다
  146. // // 식이 항상 true이거나 항상 false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우 is 키워드는 컴파일 타임 경고를 발생시키지만 런타임에는 일반적으로 형식 호환성을 확인합니다.
  147. // // is 연산자는 오버로드되지 않습니다.
  148. // // is 연산자는 참조 변환, boxing 변환 및 unboxing 변환만 고려하고 사용자 정의 변환 같은 다른 변환은 고려되지 않습니다.
  149. // if (attr is _MAIN)
  150. // {
  151. // return ((_MAIN)hashtable[key.ToString()]);
  152. // }
  153. // }
  154. // return null;
  155. //}
  156. }
  157. }